2차대전 당시 미군은
참호에서 홍차를 끓여마시는 영국군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그럼 미군은 그런게 없었을까?
사실 시간을 좀더 거슬러 올라가자면 미군에게도 이런것이 존재했다.
자세히는 미국인 모두에게 였지만
1861년 미국은 남부와 북부로 갈라져 서로 전쟁을 치른다.
(흑인편드는 병신새끼!)
(지랄하네 담배나 씹는 촌놈새끼!)
당연히 하나의 나라로 들어오던 물자들은
남측과 북측으로 나뉘어져 서로가 가질수 있는 물자들이 나뉘어졌는데
남부군은 원래 가지고있던 넓은 밭에서 나는 음식…
영국군이 붉은색 군복을 과감하게 포기한건 바로'보어전쟁'의 경험때문이다.
보어전쟁은 아프리카 종단 정책을 추진하던 영국과 당시 남아프리카지역에 정착해 살던 네덜란드계보어인 사이에 일어난 전쟁으로
맨날 상대적으로 화력이 딸리는 백병전 고집 아프리카 인을 상대하던 영국군이후장식 소총으로 무장한 식민지 개척민과 싸우면서
영국군의 레드코트는 말그대로 걸어다니는 과녁판이 되버린 것이다.
결국 전통의 붉은 옷을 갈아치우고 영국군은 카키색으로 군복을 변경한다.
그렇게 세월이 흐르고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세종대왕이 출제한 문제
1.
우리나라에서는 백성을 호적하여 군사를 삼으니 예전 제도에 거의 가까우나,
만일 급한일이 있어 임시로 조발하면 진퇴의 술법을 막지 못하고 온 집안이 군사로 나가면 농상의 업을 폐지하게 되니,
어떻게 하면 병농이 생각한 바와 같이 잘되고 사졸이 정련할 수 있는가
2.
땅이 있고 백성이 있으면 염치를 기르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노비 제도는 어느 시대에 시작하였는가?
노비 또한 하늘이 내린 백성인데 그처럼 대대로 천한일을 해서 되겠는가?
어느 집안은 노비가 많은 경우 수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