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남은 일제의 흔적.jpg > 읽을거리/역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읽을거리

역사 제주도에 남은 일제의 흔적.jpg

페이지 정보

본문

태평양 전쟁의 막바지

 

 

당시 제주도는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일본 본토 방어를 위한 결7호 작전에 포함 되었다.

 

다행히 원자폭탄 2발로 전쟁은 끝이 났고 미군이 제주도를 공격하는 일은 없었지만

 

일제가 남긴 상처는 아직도 제주 곳곳에 남아있다.

 

 

 

 

 

IE002297627_STD.jpg

maxresdefault.jpg

 

 

알뜨르 비행장

 

 

1920년부터 30년까지 모슬포 주민들을 동원해 지은 비행장이다.

 

중일전쟁 당시 폭격을 위한 전투기들이 이곳에서 출격 했고

 

태평양 전쟁이 좀 더 지속 됐다면 이곳에서 가미카제 비행사들이 출격 했을지도 모른다.

 

올레길 코스로도 포함 되어 있어 올레길 걷는 김에 구경이 가능하다.

 

 

 

 

 

 

ckeditor_7145139497269517411.jpg

 

모슬봉 일제 군사시설

 

 

미군의 공습을 대비하기 위해  지은 다용도 군사 시설이다.

 

전력공급 장치나 탄약고의 기능을 수행했다고 한다.

 

일제가 물러간 뒤 제주도민에 의해 고구마 저장소가 되었고 지금은 문화재로 지정 되어 관리하고 있다.

 

 

 

 

 

 

 

l_2015020301000193600025002.jpg

PYH2020042711580005600_P4.jpg

 

 

셋알오름 일제 진지 동굴

 

 

셋알오름에 설치된 동굴이다.

 

전체 길이만 해도 1,220m나 되는데 오로지 전쟁 수행을 위해서 파낸 흔적이다.

 

전쟁이 조금 더 진행 됐다면 일본군은 이곳에서 작전을 수행했을 것이다.

 

 

 

 

f75bb8e3-35d5-4086-be19-dd1d8596dcfb.jpg

다운로드.jpg

 

 

해안 동굴 진지

 

제주도의 수려한 자연 환경은 일본군에게는 그저 방어를 위한 거점에 불과했다.

 

태평양 전쟁 막바지 건설된 이 동굴들은 자살 공격을 위한 선박인 신요를 숨겨 놓은 장소였다.

 

대표적으로 송악산 해변과 성산일출봉에 뚫어 놨다.

 

당연히 굴착 작업에는 제주도민들이 동원 됐다.

 

 

 

 

 

 

 

더 퍼시픽 9화.mp4_20181109_031814.030.jpg

 

 

만약 전쟁이 계속 진행 됐다면

 

오키나와에서 벌어졌던 참사가 제주도에서도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민간인들에게 창 하나 쥐어주고 돌격 시키고 폭탄을 붙여 자폭 시키고.....

 

그전에 일제가 패망해 전쟁이 끝나서 다행일 따름이다.

 

 

 

 

개드립 - 제주도에 남은 일제의 흔적.jpg ( https://www.dogdrip.net/275501611 )
추천1 비추천0
URL 복사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30건 62 페이지
  • RSS
읽을거리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0 폴리시아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8-21 1 4117
9 호러올리는남자 이름으로 검색 08-20 0 1190
8 호러올리는남자 이름으로 검색 08-19 0 1100
7 호러올리는남자 이름으로 검색 08-19 0 1439
6 호러올리는남자 이름으로 검색 08-19 0 1318
열람중 폴리시아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8-19 1 778
4 폴리시아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8-19 1 756
3 건들이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8-18 1 781
2 건들이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8-18 1 2900
1 운영자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8-18 1 1016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YEAH 커뮤니티 / 대표 : 이성재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성재

Copyright © YE-AH.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