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얘기 국가의 브랜드화가 중요한 이유(feat.동남아)
본문
2000년대 초반 배우 '욘사마'의 겨울연가를 필두로,
싸이, BTS에 이르기 까지 20년동안 한국이라는 브랜드를 세상에 알렸음
최근 서양 시장까지 저변을 확대했지만 원천적으로 한류 기저 소비국가는 동남아,일본,홍콩 등 이었음
이 중 동남아 주요국의 경제 성장으로 더더욱 전략적 파트너 관계로 주목되고 있음.
<표1 베트남과 태국의 경제 수출입 현황>
우리는 이 '한류'라는 하나의 흐름을 잘 활용하여 국가 브랜딩화 하였고, 실제로 우리나라 정부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정부에서도 국가 브랜드관리를 통해 관광 상품, 제품, 해외투자 유치등에서 긍정적 낙수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만큼 전략적으로 정책지원을 하고 있음.
<표2 국가 정체성이 국가 브랜드 자산 차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KOTRA에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2009)
<표3 문화한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동남아 국가에서의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나왔고 다음으로는 경제한류의 신뢰도 분석을 보겠음.
<표4 경제한류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신뢰할 만한 구성신뢰도 범주 안에 AVE 값 또한 높게 나타나 한류가 우리나라의 대동남아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음.
실례를 보면
1.대형마트
<사진1 인도네시아 진출 롯데마트 매출분석>
2. 식품 외식업
<사진2 seoul garden 호치민>
<사진3 BBQ 치킨 다운타운이스트>
그러나 최근 중국의 남중국 해역 문제, 일대일로 사업 등으로 동남아 국가와의 관계에 비상등이 켜졌음.
<사진4 베트남-중국 공산동맹의 균열>
<표5 남중국해 무력충돌 현황>
'조선 구마사'와 같은 드라마를 단순히 시청을 안 하면 되지 라는 발상은 위험한 행동이다.
이미 한류화가 진행되어 왔기에(표3의 신뢰도) 동남아 국가에서는 맹목적으로 우리나라의 문화를 흡수한다.
하나 둘 이런 사건에 대해 묵인하고 외면하면 우리나라 브랜딩에도 큰 타격을 입히게 된다.
다시 하나 둘 묵인하게 되면
동남아가 생각하는 지금의 한국 이미지는 없을 것이다.
출처 :
표1~4 동남아 비지니스한류 현황과 활용전략, 한류 유형이 국가 정체성과 국가 브랜드 자산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표5 : 외교통상부용역보고서1226호
마지막 표 : 국가브랜드 자산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동남아 비지니스한류 현황과 활용전략, 한류 유형이 국가 정체성과 국가 브랜드 자산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진1 : 롯데마트
사진2 : seoulgarde.com.vn
사진3 : 싱가폴 교민 커뮤니티(korea.com.sg)
사진4 : 한국일보
기타 사료 : 한국측량협회, 주 베트남 대사관, 주 태국 대사관, 주 말레이시아 대사관, 주 대한민국 대만 대표부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