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읽을거리] 주세이야기 1편. 가불기에 걸린 한국 맥주회사
페이지 정보
본문
수입맥주가 4캔에 만원에 팔리고 있는걸 보면
이상한점을 느낄수가 있는데
국산맥주보다 싼 경우가 많다는것이다
국산맥주보다 싼게 이상하다고?
물건너 구라파에서 온 맥주가 한국산 맥주보다 싸다
아니 물건너 오면 당연히
비싸야하는거 아닌가?
운송비도 있고 관세도 있을건데
당연히 지금보다 오줌맥주라는 악평을 듣던 국산맥주는
점점 쉐어를 잃어가고있었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정답은 바로 세금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최근에 개정하기 전까지
맥주는 용량에 따른 세금이 아닌 종량세가 아닌
출고원가 기준의 종가세로 책정하고 있었는데
심지어 수입맥주 대부분은 관세가 없다
FTA를 통해 관세가 면제되기 떄문(...)
문제는 수입맥주와 국산맥주의
출고원가가 책정기준이 다르다는 점이다.
똑같이 원가가 500원이더라도
수입맥주는 수입하는 순간 원가에 세금을 내면 땡이지만
한국맥주는, 판매비용까지 원가에 책정이 된다는것
가격에 따라 책정되는 종가세이기 때문에
판매비용은 고스란히 세금으로 돌아왔고
이는 국산맥주가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가 된던것
물론 그림에는 수입맥주의 마진이 안붙어서 뭔가 이상하지만
수입맥주의 마진은 과세표준에 들어가지 않았다
그래서 수입맥주가 국산보다 저렴한게 가능했던것
그렇다면 국산 맥주회사들은 이런 불공평함에 항의를 하지 않았을까?
한국 맥주회사들의 대답은
"딱히...?" 였다.
그것도 그럴게
대다수 식당매장에는 국산맥주가 점령하고 있는데다가
인기가 많은 수입맥주 또한 얘들이 수입을 하고 있던것
호가든은 아예 국내생산까지 하는데다가
1위는 영원불멸할것 같은 아사히 수퍼드라이였다.
일본 불매 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하이트는 기린맥주
오비는 산토리몰츠
롯데 아사히는 슈퍼드라이
(물론 다른것도 많이 수입해 팔았다)
주류회사들이 개꿀을 빨고 있었기 때문에
바꿀 이유 자체가 없었다.
아니 오히려 바꾸면 안됐다.
2013년도인가 있었던 일이다
아니 지금 종가세 주세 시스템으로는
중소회사들이 못살아난다!
똑같이 만들어도
적게 만들면 생산비가 올라가서
세금차이가 너무 많이 난다!
이건 불공평하다
종량세로 바꾸는게 어떻겠나?
현오석 당시 기재부장관
그러면 몸집을 키워서 싸게 만드세요 ^^
그렇다
얘들은 어차피 수입맥주도 같이 유통하니까
수입맥주로 시장쉐어 뻇기는거보다
국산 중소 수제맥주 회사들에게
쉐어 뻇기는게 더 싫은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게 너무 심했다는게 문제다.
아얘 국산맥주 공장 자체에 영향을 줄정도에
하이네켄 (하이네켄 코리아)
칭따오 (비어케이)
이 두녀석들이 치고 올라오기 시작한다
1위는 아사히였지만
2,3위는 얘네들이 엎치락 뒤치락하면서 점점 점유율이 높아졌다.
다시 슬슬 국산 역차별이라는 말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그도 그럴게
주력상품은 가격을 맞추느라 질이 점점 떨어지는데
돈때려부어서 신제품 개발해도 팔리질 않아서(...)
이제 반대할 명분도 사라지게 된거지.
그런데다가 WTO 눈치도 봐야하는게
이양반들이 우리나라 주세가 이상하다고 주시하는중이었음
여튼
올해부터
맥주 세금은 1L당 800원 정도로 통일 되었고
수제맥주 세금이 확 내려가니
수제맥주들이 우후죽순 나오기 시작하면서
해피엔딩
(후일담)
야 그래도 일본맥주들은 물류비 얼마 안들어서 개꿀임
ㅋㅋㅋ
아직 개꿀 빨수 있을듯 ㅋㅋ
(2019년 6월 주류세 개편 확정)
그리고는 얼마 지나지 않아
씨1발
일본 맥주 수입이 개박살이 나면서
영원할것 같았던 아사히 슈퍼드라이의 천하가 끝이났고
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야 너는 왜 쳐웃어
?
앗...
하이네켄이
반일감정, 반중감정 어부지리를 통해
수입맥주 1위에 올라서게 된다(...)
참고로 우리나라 맥주 세금은 일본의 1/3 수준임
일본이 유독 맥주 소비량이 높다보니 세금이 미침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