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매국노였던 내가 이 나라에서는 독립 운동가?!
페이지 정보
본문
허영(1908~1952).
조선이 일본에 지배되기 2년 전에 태어난 이 남자는, 17세 때 일본에 밀항하여 '히나츠 에이타로' 라는 가명을 쓰고 일본인인 척 활동하고, 일본인 아내와 결혼도 했다.
일본에서 허영은 영화 제작에 참여하여 두각을 보이게 되고, 이후 나름대로 이름 있는 영화 제작자가 되었으나 영화 촬영 도중 사고를 낸 뒤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조선인임이 드러나 구금되기도 했다.
1941년에 허영은 조선으로 넘어가 총독부의 정책을 선전하는 <그대와 나>라는 프로파간다 영화를 찍는다.
<그대와 나>는 요즘 사람들에겐 야인시대에서 심영이랑 같이 나와 유명해진 문예봉이 주연을 맡았다고 한다.
이후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하며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자, 허영은 군속(군무원) 자격으로 동남아에 진출한 일본군과 동행하며 선전 영화를 찍는다.
당시 허영이 찍은 영화는 일본군에게 잡힌 포로들이 이렇게 편하게 살고 있다고 선동하는 <콜링 오스트레일리아>였는데, 선동이 안 먹혔는지 오히려 전쟁 이후 전범 재판에서 일본군의 포로 학대를 증언하는 자료로 쓰였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 일본군의 패색이 짙어졌다. 이대로 일본에 돌아가면 패전국의 국민이 되고, 조선으로 돌아가면 매국노가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허영은 동남아에 그대로 눌러앉기로 한다.
허영은 인도네시아에 정착하게 되는데, 당시 인도네시아는 일본의 지배 이후 과거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배하던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를 다시 지배하겠다고 나서서 인도네시아 국민들의 격렬한 반대를 사고 있었다.
결국 인도네시아는 2차 대전 종전 이후에도 4년 동안 네덜란드와 맞선 후에야 독립을 맞을 수 있었다.
허영은 네덜란드와 싸우는 인도네시아 민중들을 필름에 담았고, 영화와 연극으로 인도네시아를 지원하였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나온 그의 영화 <프리다>는 독립을 이룬 인도네시아 국민들의 심금을 울렸다.
영화를 만든 뒤 얼마 후, 허영은 젊은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우리 입장에서는 친일 매국노였지만, 인도네시아의 입장에서는 독립 운동가라는 위치에 놓인 기회주의자의 최후였다.
그의 무덤은 지금도 인도네시아의 수도인 자카르타에 있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 1(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