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동체에 붙은 테이프 하나때문에 추락한 비행기
페이지 정보
본문
1996년 10월 2일.
페루 리마 '호르헤 차베스 공항'에서 출발하여 칠레 산티아고 '코모도로 아르투로 메리노 베니테스 공항'을 향할 예정이던
페루항공 603편. 기종은 보잉 757.
603편은 10월 1일에 호르헤 차베스 공항에 중간 기착하여,
10월 2일 자정을 조금 넘은 심야에 승무원 포함 70명의 사람을 태우고 이륙하였다.
하지만 이륙 후 수 분이 지나자 항공기의 비행 필수 계기들이 오작동을 하기 시작했다.
비행속도, 고도, 수직속도 등의 모든 계기들이 제각각 잘못된 정보들을 표시함과 동시에,
컴퓨터는 실속 경고과 고속 경고를 동시에 낸다던가 상승 중임에도 저고도 경고를 하며
조종실을 패닉으로 몰고갔다.
주변에 시가지라던가 하다못하 산이라도 보였다면 조종사들이 속도와 고도를 추측이라도 할 수 있었을테지만,
불행히도 603편은 이미 어두컴컴한 태평양 상공을 비행하고 있었으며
이는 조종사들을 더욱 혼란으로 몰아 세웠다.
결국 기장은 리마 관제소에 비상 선언을 한 후 관제소에게 자신들의 정확한 속도와 고도를 문의한다.
관제소 역시 사태의 심각함을 파악하여 즉각 603편에게 속도와 고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조종사들의 비행을 도왔다.
문제는, 관제소에서 표시되는 603편의 속도는 지상 레이더가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정확한 정보였지만
고도는 오류를 일으키고 있는 603편의 컴퓨터가 지상 관제소에 보내주는 거짓 정보였다는 것.
관제사는 이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채 잘못된 고도 정보를 계속해서 603편에 전달하였고,
조종사들 역시 관제사가 보내주는 고도 정보와 계기판에 표시되는 고도가 일치하자 고도 계기판은 고장이 아니라고 판단해버리고 말았다.
잘못된 고도정보를 토대로 조종사들은 자신들이 상당히 고고도까지 상승했다고 판단하여,
착륙을 위해 조심스럽게 하강하기 시작했다.
아주 조심스러운 하강임에도 아무런 필수 정보도 없이 기체를 조종하느라 603편은 자주 실속에 빠졌으며
그때마다 기체는 급격하게 고도를 잃었다.
결국 비상선언 25분 후, 지상 관제소에서 603편을 유도하기 위해 이륙시킨 다른 항공기가 603편의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
603편의 좌측 주익이 해수면에 충격했다.
그제서야 자신들의 진짜 고도를 알게된 조종사들이 급히 상승을 시도했으나,
이미 자세를 잃은 603편은 20초 후에 기체가 뒤집힌채 착수, 바닷속으로 가라앉고 말았다.
후에 회수된 조종실 음성 기록에 따르면 착수 순간에도 고도계기는 약 9,700ft(약 3km)를 가리키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당일 이른 아침부터 개시된 오랜 수색 끝에 9구의 시신을 수습했으나, 나머지는 모두 기체에 갇힌 상태였다.
승객 61명, 승무원 9명 모두 사망. 생존자는 없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고 인양된 기체에서 사고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원인은 동체 하부 '정압 구멍'을 막고 있는 은색 덕트 테이프.
이 정압 구멍은 기체 전면에 있는 '피토관'이란 구멍과 함께 비행시 기체 내외부 대기압력 비교 및 대기유입을 통해
기체의 속도, 수직 속도와 고도를 측정하게 하는 중요한 부위인데,
이 구멍이 막혀있으니 계기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밖에 없었던 것.
호르헤 차베스 공항에 중간 기착했을 당시에 주기 중에 기체 정비 및 세척이 있었는데,
이때 정비사가 이 정압공을 테이프로 막았다가 떼는 것을 잊은 것이었다.
거기다 테이프의 색도 기체 색과 같은 은색이었던지라
이륙직전인 야밤에 있었던 수차례의 외부 점검에도 이 테이프는 발견되지 않았고
결국 참사를 불러오고 말았다
담당 정비사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다고 전해진다.
3년 후인 1999년, 이미 경영 악화상태이던 페루 항공은 배상금 지급을 피하기 위해 결국 파산을 신청했으며,
2006년 보잉 측이 컴퓨터 계기 오작동시 컴퓨터를 끄고 아날로그 계기만으로 비행이 가능했었던 사실을
조종사들에게 교육하지 않은 점을 인정하여, 유가족들은 사고 10년 만에 배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었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