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읽을거리] 충무공의 낙하산은 어느정도의 속도였을까?
페이지 정보
본문
충무공은 늘그막에 무과에 급제한뒤에도 특유의 꼬장꼬장성격으로 상관한테 쿠사리먹고 강등먹는게 일상이였는데
이순신의 그러한 일화중 하나로 1580년 선조의 1차 낙하산을 타고 36살에 종9품 훈련원봉사에서 종4품 수군 만호직에 임명되는데
이 부대에 개쩌는 오동나무가 있었다
그런데 직속상관 전라좌수사인 성박이 "야 니네부대 나무 쩐다며? 나무 좀 베어와라" 라고 명령을 내렸는데
이순신이 "그것은 나라소유의 물건입니다"라며 거부를 한거임
현대로 치면 사단장이 "야 니네부대 나무 하나 베어와라" 라고 시켰는데 대대장이 "부대 영내 나무도 국가 소유이니 할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한 셈
이런 성격으로 상급자들에게 좋게 보일리가 없었고 평가에서 나락을 찍은 뒤 낙하산으로 오기 전이였던 종9품 훈련원 봉사로 강등당함
이후 다시 10여년간 천천히 계급을 올려가며 1589년 종6품 정읍현감이 됨
그러던중 다시금 유성룡의 추천과 선조의 낙하산프로젝트가 시작되는데...
- 1590년(46세)
7월 : 류성룡이 고사리진 병마첨절제사(종3품)로 천거했으나 "변방 수령은 만 1년이 되지 않으면 자리를 바꿀수 없다."는 사관원의 반대로 개정되었다.
8월 : 평안도 만포진 수군첨절제사로 천거되었으나 역시 사관원에서 지나치게 진급이 빠르다는 이유로 개정되었다.
- 1591년(47세)
2월 13일 : 이억기, 이천, 양응지와 함께 남해 요해지로 임명하여 공을 세우게 하라는 선조의 전교가 내려왔다. 그리고 이전 처럼 진급이 빠르다는 이유로 거절 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읍현감에서 진도군수(珍島郡守)로 승진시킨후 부임하기도 전에 가리포첨절제사(加里浦僉節制使)로 전임 시켰으며 이 또한 부임하기 전에 전라좌수사(종3품)로 초수했다.
요약하면 종6품 정읍현감에서 보직장소 도착하기도 전에 승진시켜가면서 2년만에 정3품 전라좌수사까지 올라감
현대로 치면 VIP가 40대에 매일 강등먹던 대위를 청문회에서 진급속도 너무 빠른거 아님? 이라고 공격당하는거 다 무시하고 2년만에 사단장 시켜준셈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