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300의 숨겨진 진짜 주제 > 읽을거리/지식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읽을거리

지식 영화 300의 숨겨진 진짜 주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건들이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127.0) 작성일 20-10-11 22:48 조회 1,100 댓글 0

본문

300.jpg

 

 

 

영화 300의 원작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 그러니까 일종의 판타지 만화에 가깝다.

 

밀러가 당시 300으로 보여주고 싶던 가장 큰 주제는 '아이러니'다.

 

 300에서 스파르타인들은 절대로 자유, 평화, 민주의 상징으로 묘사되지 않는다.

 

 300에서 스파르타인들은 입으로는 끊임없이 자유, 민주주의에 대해서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그들이 묘사되는 모습은 그 정반대인 전체주의의 광기에 가까운 과격하고 미개한 집단이다.


 

 

300-2.jpg

 

자유, 민주주의를 수호한다던 스파르타 인들에게는 태어나서부터 자유가 없다.

 

장애인으로 태어나면 바로 죽임을 당하고, 그렇지 않더라도 바로 군사훈련을 하도록 징집당한다.

 

그리고 신체적으로 약한자는 모두 죽도록 내버려 둔다.

 

300-026.jpg

 

이성과 논리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중요한 결정에 있어서는 늙은 예언자들의 미신에 의지한다.

 

또한 교섭을 하러 온 사신을 매우 감정적으로, 그것도 미개한 방법으로 살해하기도 한다.

 

 

300-1.jpg

 

 

 

반면 철저히 괴물이자 야만인으로 그려지는 페르시아의 왕은 몇 번이고 적들에게 투항을 권고하며,

 

배신자를 등용할 때에도 그가 몹시 추한 장애인이라는 것조차 신경쓰지 않고 직접 대면하기까지 한다.

 

무엇보다 스파르타에서는 태어나자마자 처리되었어야 할 소위 괴물들도 차별 없이 정예부대로 두고 있고,

 

제국이 흡수한 다른 야만인 병사도 마찬가지로 잘 등용해서 쓰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역으로 스파르타인들을 죽음으로 내몬다.

 

 

 

밀러는 그 어떤 민주주의 사회도 굉장히 전체주의스러운 요소를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했다.

 

민주주의 사회의 최후의 보루인 군대는 가장 전체주의를 강요할 수 밖에 없는 집단이다.

 

애시당초 국가라는 존재를 위해 개개인을 희생할 수 밖에 없는 집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밀러에게 엄청난 아이러니로 보였고, 영화에서 이런 점을 지적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영화에서 당시 자유, 민주주의 의 상징으로 표현되는 그리스가,

 

가장 전체주의적인 스파르타군의 희생을 앞세워서 시간을 벌고자 했다는 점에서 나타난다.

 

 

 

자유, 개인의 선택이라는 이상을 지키기 위해서 그에 정 반대되는 전체주의를 앞세울수 밖에 없는 아이러니를 보이는 것이, 영화 300의 주제인 것이다.

 

추천1 비추천 0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
전체 1,230건 5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YE-AH.NET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