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뇌의 3층 구조
본문
뇌의 3층구조를 모두 사용해야 잠재력을 모두 끌어올릴수 있다
모든 인간은 물고기였다 그리고 물밖으로 나와서는 양서류에서 파충류 , 포유류로 진화했다
그러면서 뇌는 3층으로 진화한다
1층[뇌간]파충류 시절의 뇌 - 기초대사 (수면, 각성, 체온, 호흡, 식욕, 성욕 등)
2층[구피질]구포유류(쥐나 원숭이와 비슷하던 시절) 시절의 뇌=감정적( 위험포착, 대비, 싸움, 도주, 마음의 변심)
3층[신피질]인간적인 시절의 뇌= 이성과 창조 (문명과 과학, 예술)
*인간은 평생중에 3살 아기일때가 가장 잔인하다는 연구를 본적이 있다. 왜냐하면 살기위해하는 잔인한 일에도 죄책감을 못느끼기 때문이다
그리고 점차 나이가 들면서 기쁨과 슬픔 등 감정이 생기고 식욕과 성욕등도 생기는데 이성을 담당하는 맨위층 신피질은 완전히 발달하려면 20살 후반이상이 되야하기때문에 남자는 20살 초중반까지 성욕을 쉽게 컨트롤 하지 못하는거다
아무튼 인간은 이 뇌의 3층구조를 모두 균형있게 받아들이지 못하면 생각과 감정과 행동이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한다
파충류 시절의 본능을 억제=식욕,성욕,폭력성,생존본능 등 기초대사 능력 도움으로 전체적인 잠재력 상승
구포유류 시절 감정의 억제=스트레스 조절, 흥미 상승으로 학습 능력 향상
인간 시절의 자아성찰=분석,판단,기억 ,자아성찰, 창조
인간이 극단적으로 변하면 본능적인 원시사회 이거나 너무 이성적인 기계사회가 된다. 원시사회나 기계사회가 현대의 인권주의적 사회보다 못하다는 증거는 없지만
우리가 소위 말하는 사랑이라는 감정도 이 구피질에서 나온것으로 우리가 이런 구피질의 감정을 잃지 말아야할 이유가 있다면 구피질의 보존과 신피질과 뇌간의 조화를 통해 보다 온전한 균형있는 생각을 하기 위함임을 잊지말자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