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에 관련된 잡지식들을 오랜만에.araboja > 읽을거리/지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읽을거리

지식 🦩동물에 관련된 잡지식들을 오랜만에.araboja

페이지 정보

본문

 

글 중간에 혐오스러울 수 있는 사진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1. 홍학은 학이 아니다.

 

홍학은 붉은 학이라는 뜻이지만, 생물학적으로 학이 아니다.

학은 두루미목 두루미과 두루미속에 속하는 조류이다.

반면 홍학은 홍학목 홍학과 홍학속에 속한다.

홍학은 후조류, 학은 관조류에 속하며, 비둘기가 대표적인 후조류이다.

즉, 홍학은 학보다는 비둘기와 가깝다.

+ 학(鶴)은 두루미의 한자 표기이다.

※ 홍학의 생물학적 분류는 이견이 있으며, 일단은 후조류에 속한다고 정의되어있다.

홍학,단정학.png

(왼쪽 큰홍학, 오른쪽 단정학)

 

 

 

2. 홍학은 원래 붉은색이 아니다.

 

홍학은 새끼 때는 회색빛을 띠지만, 성장하면서 깃털이 붉은색이 된다.

깃털이 붉은 이유는 먹이 때문이다.

이들이 수생 박테리아, 브라인새우 등의 먹이에서 베타카로틴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 베타카로틴 섭취를 안 하면 깃털이 다시 흰색으로 바뀐다.

+ 연어, 송어 등도 갑각류의 베타카로틴 때문에 살색이 붉다. 원래 흰살 생선이다.

칠레홍학.png

(칠레홍학/ 왼쪽 베타카로틴 섭취가 적은 홍학과 새끼, 오른쪽 베타카로틴을 섭취한 홍학)

쿠바홍학.jpg

(쿠바홍학)

 

 

 

3. 학의 머리에 붉은 부분은 깃털이 아니라 피부다.(주의)

 

학의 정수리 부분은 돌기 피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세혈관에 의해 붉게 보인다.

머리가 맨살인 이유는 현재까지는, 환경 적응 및 구애에 이점을 가지기 위함이 정설이다.

+머머리 단정학

두루미 머리.png

 

 

 

4. 백로 말고 흑로도 있다.

 

하절기 논에서 주로 보이는 백로는 하얀(白) 해오라기(鷺)라는 뜻이다.

깃털이 검은색인 흑로도 있으며 우리나라의 남해안 도서지역에 서식한다.

+ 흑로이지만 깃털이 하얀 개체들도 있다.

흑로,중대백로.png

(왼쪽 흑로, 가운데 하얀 흑로, 오른쪽 중대백로)

 

 

 

5. 백로, 왜가리는 학보다는 사다새와 가깝다.

 

백로, 왜가리는 학과 유사하게 생겼지만 목 수준에서 다른 새이다.

학은 두루미목에 속하지만, 백로, 왜가리는 사다새목에 속한다.

비슷한 생활로 인한 수렴진화의 결과로 유사한 외형을 가진 것이다.

+ 논, 하천 등에서 보이는 백로나 왜가리를 보고 학으로 오해하지 말자.

+ 사다새는 펠리컨(pelican)의 한국명이다.

쇠백로,왜가리.png

(왼쪽 쇠백로, 오른쪽 왜가리)

사다새,단정학.png

(왼쪽 사다새, 오른쪽 단정학)

 

 

 

6. 넓적부리황새는 황새가 아니다.

 

넓적부리황새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사다새목 넓적부리황새과의 대형 조류이다.

실제 신장(키)이 1~1.4m에 이르고, 날개폭이 2.3~2.6m에 이른다.

생김새 때문에 황새와 친척인 줄 알았지만, 유전학적으로 사다새와 가깝다고 밝혀졌다.

+ 영어로 슈빌(Shoebill)이라 불리며, 부리가 구두를 닮았기 때문이다.

황새,넓적부리황새.png

(왼쪽 황새, 오른쪽 넓적부리황새)

넓적부리황새.png

 

 

 

7. 흰방울새는 세계에서 가장 목소리가 큰 새이다.

 

흰방울새(White Bellbrid)는 참새목 장식새과에 속하는 새로, 세계에서 목소리가 가장 큰 새이다.

최고 큰 소리는 2019년의 기록 125dB이다. 이륙 중인 비행기 소리가 100~120dB이다.

은방울새.jpg

(소리 주의)

 

 

 

8. 닭처럼 생긴 오리가 있다.

 

떠들썩오리는 머리와 부리 모양을 보면 닭과 유사하게 생겼다.

학자들도 닭목에 속한다고 생각했지만 유전자 분석 결과 닭보다는 오리와 가깝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떠들썩오리과의 새들은 기러기, 오리와 함께 기러기목에 속한다.

+ 영어로는 Screamer, 즉 '비명 지르는 자'라는 뜻으로 불린다. 걸맞게 목소리가 특이하다.

남방떠들썩오리.jpg

(남방떠들썩오리)

(뿔떠들썩오리의 울음소리)

 

 

 

9. 발레처럼 춤추는 새가 있다.

 

뉴기니 섬과 그 일대지역에 서식하는 참새목 극락조과에 속하는 새들의 수컷은 독특한 구애춤을 춘다.

그 중 웨스턴 파로티아(Western Parotia) 수컷은 발레와 같은 춤을 춘다.

웨스턴파로티아.png

+ 극락조 중에 유명한 어깨걸이극락조도 웨스턴 파로티아와 같은 과에 속하는 새이다.

어깨걸이극락조.png

 

 

 

10. 황제펭귄과 임금펭귄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새끼는 엄청 다르다.

 

황제펭귄과 임금펭귄은 모두 펭귄목 펭귄과 황제펭귄속에 속하는 새이다.

임금펭귄은 황제펭귄 다음으로 큰 펭귄이고, 생김새도 유사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새끼는 매우 다르게 생겼다.

만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서 등장하는 새끼 펭귄의 이미지는 모두 황제펭귄이다.

임금펭귄의 새끼는 키위새처럼 고동색의 복슬복슬한 털을 가지고 있다.

+ 임금펭귄이 펭귄 중 가장 큰 펭귄이라고 여겨져 임금(King)이 붙었지만,

   이후 더 큰 펭귄이 나오면서 그 펭귄에 황제(Emperor)가 붙었다. 

황제펭귄,임금펭귄.png

(왼쪽 황제펭귄 성체와 새끼, 오른쪽 임금펭귄 성체와 새끼)

 

 

추천1 비추천0
URL 복사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30건 31 페이지
  • RSS
읽을거리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30 진크화이트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4 1 573
629 진크화이트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3 1 741
628 진크화이트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3 1 569
627 유니신느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3 1 619
626 귀큰놈들시발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3 1 721
625 진크화이트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2 1 648
624 폴리시아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2 1 536
623 크롬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2 1 612
622 크롬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2 1 627
621 개소리잘함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2 1 549
620 폴리시아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1 1 673
619 건들이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2-01 1 1301
618 진크화이트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1 1 645
617 귀큰놈들시발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1 1 716
616 크롬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1 1 752
615 개소리잘함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1 1 705
614 폴리시아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1 1 649
613 유니신느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0 1 776
612 유니신느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0 1 850
열람중 진크화이트 쪽지보내기 마이페이지 아이디로 검색 01-30 1 1342

검색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YEAH 커뮤니티 / 대표 : 이성재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성재

Copyright © YE-AH.NET All rights reserved.